프로그램개발도구/Git+Github

[Git Branch관리]VSCode+Git+Github Branch 관리(1)

CodeMasterSong 2025. 5. 13. 14:40
반응형

깔끔한 Git 워크플로우: 새 브랜치 생성 및 GitHub 푸시 가이드

개발 작업을 하다 보면 여러 기능을 동시에 개발하거나, 기존 코드를 건드리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을 때가 많죠. 이럴 때 Git의 브랜치(Branch) 기능은 정말 유용합니다. 브랜치를 사용하면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만들어 코드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나중에 원래 코드(보통 main 또는 master 브랜치)와 병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로컬 Git 저장소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고, 이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인 GitHub에 푸시(Push)하여 다른 팀원들과 공유하거나 백업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사전 준비 사항

시작하기 전에 다음 사항들이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1. Git 설치: 컴퓨터에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Git 설치 가이드)
  2. GitHub 계정: GitHub 계정이 필요합니다.
  3. 로컬 Git 저장소: GitHub에서 클론(clone)했거나, 이미 GitHub 원격 저장소(origin)와 연결된 로컬 프로젝트 폴더가 있어야 합니다.

 

 

[Git설치]Git으로 코드 변경 관리하자.

🌟 Git이란 무엇인가?🔹 Git의 정의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으로, 코드 변경 사항을 효율적으로 추적하고 여러 개발자와 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필수 도구

all-tech-hub.tistory.com

 

 

 

[Github생성]Git과Github 뭐가 다를까? Git과 GitHub연동하기

원격 저장소 GitHub를 이해 본 글에서는 GitHub에 대해 이해하며 이전 문서에서 작성한 Git과의 차이점을 이해해 봅니다. 결국 프로젝트 변화를 관리하는 도구와 변화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보관

all-tech-hub.tistory.com


단계별 가이드

이제 터미널(Terminal)이나 Git Bash, 또는 VS Code 등의 통합 터미널을 열고 차근차근 따라 해 봅시다. 모든 명령어는 터미널에서 진행하는게 기본이지만 개발 도구(IDE)에 따라서 GUI 환경에서 진행하도록 제공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다음은 명령어로 진행하는 기본 방법을 정리하며, VS Code에서의 화면을 참고하도록 첨부합니다. 프로젝트 내용보다는 해당 메뉴 또는 아이콘 위치를 확인하세요.

 

1단계: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먼저 작업하려는 로컬 Git 저장소(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합니다.

cd /path/to/your/project

(/path/to/your/project 부분을 실제 프로젝트 경로로 바꿔주세요)

 

2단계: 베이스 브랜치 최신 상태 확인 (선택 사항, 권장)

새 브랜치를 만들기 전에, 기반이 될 브랜치(보통 main 이나 master)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Conflict)을 줄일 수 있습니다.

# 1. 메인 브랜치로 이동 (프로젝트에 따라 main 또는 master)
git checkout main

# 2. 원격 저장소(GitHub)의 최신 변경 사항 가져오기
git pull origin main

 

3단계: 새 브랜치 생성 및 해당 브랜치로 이동

이제 새로운 작업을 위한 브랜치를 만듭니다. 브랜치 이름은 어떤 작업을 하는지 알아보기 쉽게 짓는 것이 좋습니다 (예: feature/login-page, bugfix/issue-123, dev).

git checkout -b 명령어를 사용하면 브랜치를 생성함과 동시에 해당 브랜치로 바로 이동(체크아웃)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dev' 라는 이름의 새 브랜치를 만들고 그 브랜치로 이동
git checkout -b dev

(이제 dev 브랜치에서 작업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4단계: GitHub에 새 브랜치 푸시 (Push)

로컬에서 새 브랜치를 만들었으니, 이제 이 브랜치를 GitHub 원격 저장소에도 알려줘야 합니다. git push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it push -u origin dev

 

여기서 각 부분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git push: 로컬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로 보냅니다.
  • -u 또는 --set-upstream: 매우 중요! 이 옵션은 로컬의 dev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origin)의 dev 브랜치와 연결(link)합니다. 이렇게 한번 연결해 두면, 다음부터 이 브랜치에서 작업하고 푸시할 때는 git push만 입력해도 자동으로 origin의 dev 브랜치로 푸시됩니다. (git pull도 마찬가지)
  • origin: GitHub 원격 저장소를 가리키는 기본 이름입니다. (다른 이름을 사용했다면 해당 이름을 써야 합니다.)
  • dev: GitHub에 생성(푸시)할 브랜치의 이름입니다. (로컬 브랜치 이름과 동일하게 지정)

5단계: GitHub에서 확인

푸시가 완료되면 GitHub 저장소 페이지로 이동하여 확인해보세요.

  • 브랜치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면 방금 푸시한 dev 브랜치가 목록에 나타날 것입니다.
  • 종종 GitHub 페이지 상단에 "dev had recent pushes"라는 메시지와 함께 "Compare & pull request" 버튼이 나타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바로 Pull Request(PR)를 생성하여 코드 리뷰를 요청하거나 main 브랜치로 병합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제 여러분은 Git으로 새 브랜치를 만들고 GitHub에 푸시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워크플로우를 통해 여러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하게 코드를 개발하며, 팀원들과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습니다.

이제 새로 만든 브랜치에서 자유롭게 코드를 수정하고, 커밋(commit)하고, git push 명령으로 GitHub에 계속 업데이트하세요! 작업이 완료되면 Pull Request를 통해 변경 사항을 공유하고 메인 브랜치에 통합하는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