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생성형AI

[국내생성형AI]생성형AI 국내 기술을 알아본다.

CodeMasterSong 2025. 4. 7. 01:01
반응형

K-AI의 자존심: 우리 기술로 'AI 심장'을 만드는 대한민국 대표 기업들

요즘 어딜 가나 인공지능(AI) 이야기뿐입니다. 특히 챗GPT나 제미나이(Gemini) 같은 해외 거대 기업들의 AI 모델은 우리 일상과 업무 방식까지 바꿔놓고 있습니다. 이들의 놀라운 성능과 가능성은 분명 주목할 만합니다. 매일 변하는 모델들의 기능에 놀라움을 금하지 못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우리 나라의 기술력으로도 전 세계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모델들을 개발할 수 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는 한 사람으로써 미국과 중국의 양대 싸움이 아닌 대한민국도 큰 주축이 되길 바랍니다.

 

본 글에서는 직접적인 IT 기술이나 사용법등을 소개하는 것 보다 AI 기술의 파도가 전 세계를 휩쓰는 지금, 단순히 해외의 거대 모델을 가져다 쓰는 것을 넘어, 우리만의 생각과 데이터, 그리고 기술력으로 AI의 핵심 엔진이라 할 수 있는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직접 만들고 있는 자랑스러운 국내 기업들이 있어 소개하는 글을 씁니다. 

 

이들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더 최적화된 AI를 선보이며 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국내 AI 생태계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바로 이 '우리 기술로 만든 K-AI 심장', 즉 자체 LLM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기업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해외 모델 활용 사례가 아닌, 순수 우리 기술로 AI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기업들의 노력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NAVER)

하이퍼클로바X (HyperCLOVA X) - 한국어에 특화된 초거대 AI 모델입니다. 이전 버전인 하이퍼클로바를 대폭 개선했습니다.

    • 활용:
      • 클로바X (CLOVA X):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대화형 AI 서비스 (챗봇).
      • 큐: (CUE:):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복잡한 질문에 대해 검색 결과를 요약하고 답변을 생성.
      • 네이버 서비스 전반: 쇼핑, 예약, 검색 광고, 블로그 창작 도구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 개선 및 생산성 향상.
      • 뉴로클라우드 for HypeCLOVA X: 기업 고객이 자체 서버에 직접 설치해 보안 걱정 없이 사용하는 기업용 솔루션.
    • 일반 개발자 접근성: 높음
      • 네이버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하이퍼클로바X의 다양한 기능(텍스트 생성, 요약, 분류 등)을 활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일정량의 무료 사용량을 제공하며, 그 이상 사용 시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즉, 일반 개발자나 기업이 비교적 쉽게 하이퍼클로바X의 능력을 자신의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CLOVA

하이퍼스케일 AI로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비즈니스 시너지를 확장합니다.

clova.ai


카카오 (Kakao)

코GPT (KoGPT), 코-엘엘엠 (Ko-LLM - 가칭, 개발 중) - 카카오브레인 중심으로 개발. 한국어 특화 모델.

  • 활용:
    • 카카오톡: '안읽씹 요약' 기능 등 카카오톡 내 다양한 편의 기능에 적용 추진.
    • 버티컬 서비스: 헬스케어(의료 영상 분석), 교육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AI 서비스 개발.
    • 칼로 (Karlo): 이미지 생성 AI 모델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
    • 기업용 AI: 파트너사 및 기업 고객에게 맞춤형 AI 솔루션 제공 모색.
  • 일반 개발자 접근성: 제한적/조건부
    • 과거 KoGPT 모델의 경우 API를 공개한 적이 있으나, 현재 주력 모델이나 최신 모델의 범용적인 Public API 제공은 네이버만큼 활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특정 파트너나 기업 고객 대상, 혹은 특정 플랫폼(예: Kakao Developers) 내에서 제한적으로 제공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반 개발자가 자유롭게 코드 레벨에서 최신 모델을 활용하기에는 다소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브레인, 한국어 초거대 AI 언어모델 ‘KoGPT’ 공개

#KOGPT #대규모언어모델 #초거대AI #카카오브레인

www.kakaocorp.com

 

 

밑바닥부터 Kanana LLM 개발하기: Pre-training - tech.kakao.com

안녕하세요. 카카오의 AI 모델 개발을 담당하는 카나나 알파(Kanana ⍺) 조...

tech.kakao.com


LG AI 연구원

엑사원 (EXAONE) - 언어와 이미지를 모두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modal) 초거대 AI.

  • 활용:
    • 전문가용 AI: 신소재/신약 개발, 금융 상품 개발, 디자인 등 전문가 영역의 창의성과 생산성 지원. (예: 디자인 생성 플랫폼 '틸다(Tilda)')
    • LG 계열사 적용: LG전자, LG화학 등 그룹 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 AI를 적용하여 경쟁력 강화.
    • 파트너십: 외부 기업 및 기관과 협력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의 AI 솔루션 개발.
  • 일반 개발자 접근성: 낮음
    • 엑사원은 주로 LG 계열사 내부 활용 및 특정 기업/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B2B 프로젝트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일반 개발자나 개인이 자유롭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Public API 형태로는 거의 제공되지 않습니다.
    • 전문가 그룹과의 협업이나 특정 솔루션 형태로 기술이 제공되는 방식입니다.

 

 

LG AI Research

Advancing AI for a better Life.The potential of AI goes beyond everyday life. It can affect industry, move the economy, and even save the planet.LG AI Research will help you harness the power of AI.

www.lgresearch.ai

 


SK텔레콤 (SKT)

에이닷엑스 (A.X) LLM -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

  • 활용:
    • 에이닷 (A.): AI 개인 비서 서비스. 통화 내용 요약/녹음, 실시간 통역, 일정 관리 등 통신 서비스와 결합된 기능 제공.
    • 엔터프라이즈 AI: 기업 고객을 위한 맞춤형 AI 솔루션 및 컨설팅 제공. (A. Enterprise 등)
    • 글로벌 협력: 앤트로픽(Anthropic), 오픈AI 등 글로벌 AI 기업들과 협력하여 기술 고도화 및 서비스 확장.
  • 일반 개발자 접근성: 낮음
    • SKT의 LLM은 주로 자사 서비스 '에이닷'의 고도화 및 기업 고객 대상 솔루션 제공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일반 개발자가 A.X LLM 자체를 직접 코드 레벨에서 다룰 수 있도록 Public API를 제공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에이닷엑스 | SK텔레콤 뉴스룸

SK텔레콤의 공식 뉴스 채널로 회사의 상품, 서비스, 경영활동에 대한 소식을 전합니다.

news.sktelecom.com


KT

믿음 (Mi:dm) - 산업 특화 및 기업 전용 LLM을 지향하는 초거대 AI 모델.

  • 활용:
    • AICC (AI 컨택센터): 고객센터 업무 효율화 및 상담 품질 향상.
    • 산업별 AI 솔루션: 금융, 공공, 교육 등 특정 산업 분야에 최적화된 AI 서비스 제공 목표.
    • AI 반도체 협력: 리벨리온 등 AI 반도체 스타트업과 협력하여 AI 인프라 경쟁력 강화.
  • 일반 개발자 접근성: 낮음
    • KT '믿음'은  B2B 중심 모델로, 일반 개발자나 개인이 자유롭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Public API 형태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 특정 기업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맞춤형 솔루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생성형 AI 믿음 | KT Enterprise

KT 생성형 AI 믿:음은 Mindful intelligence that dialogs, empathizes, understands, and moves KT의 초거대 모델은 고객의 생각과 감성을 이해하고, 기억하며, 공감하고 표현하기 위한 AI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enterprise.kt.com


삼성전자

삼성 가우스 (Samsung Gauss) - 언어(Language), 코드(Code), 이미지(Image) 모델로 구성.

  • 활용:
    • 갤럭시 AI: 갤럭시 스마트폰, 노트북 등 자사 기기에 내장되어 실시간 통역, 사진 편집, 문서 요약 등 온디바이스 AI 기능 제공.
    • 사내 업무 효율화: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한 내부 시스템에 적용.
  • 일반 개발자 접근성: 거의 없음
    • 삼성 가우스는 기본적으로 온디바이스 AI, 즉 인터넷 연결 없이 기기 내부에서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 외부 개발자가 클라우드 API 형태로 호출하여 사용하는 모델이 아니므로, 일반 개발자가 코드 레벨에서 접근하여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기기에 탑재된 기능을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이처럼 대한민국의 대표 IT 및 통신 기업들은 막대한 투자와 연구 개발을 통해 자체적인 거대언어모델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을 넘어, 한국어 데이터와 문화적 맥락에 최적화된 AI를 개발하고, 나아가 글로벌 AI 시장에서 우리만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다만 이들 대표 기업들이 자체 LLM 개발에 성공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지만, 일반 개발자들이 OpenAI의 GPT나 구글의 제미나이처럼 자유롭게 코드 레벨에서 이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는지는 기업별로 큰 차이를 보입니다.

  • 네이버는 비교적 적극적으로 API를 공개하여 개발자 생태계를 확장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 반면 LG, SKT, KT, 삼성전자 등은 자체 서비스 고도화, B2B 솔루션, 특정 산업 분야 적용, 혹은 온디바이스 구현에 더 중점을 두어 일반 개발자 대상의 범용 API 제공에는 소극적이거나 제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 카카오는 그 중간 지점에서 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각 기업의 사업 전략과 LLM 개발 목표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 기술로 만든 K-AI가 더욱 발전하고 넓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접근성 측면에서의 고민과 노력도 계속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