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개발 환경인 VSCode + Git + Github 방법(2)
VS Code에서 React 개발 하면서 버전관리로 Git를 사용하고 원격 저장소로 Github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연동하는 방법 정리을 정리 중이며 본 글에서는 다음의 2번째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Git Bash Shell(PowerShell, 명령 프롬프트)에서 명령어로 연결하는 방법
2️⃣ Visual Studio Code에서 GUI로 연결하는 방법
만약 이 문서를 먼저 보는 경우라면 VS Code 준비와 Git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Github에 회원 등록된 이후에 사용 가능 합니다. 각각의 방법은 해당 글을 통해 준비하고 오세요.
또는
첫 번째 방법인 Git Bash Shell에서 모두 명령어로 진행하는 방법을 정리된 이전 문서를 참고하세요.
[React 개발환경3]GitBash 이용! VSCode+Git+Github연동
React개발 환경인 VSCode + Git + Github 방법VS Code에서 React 개발 하면서 버전관리로 Git를 사용하고 원격 저장소로 Github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연동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2가지
all-tech-hub.tistory.com
기존에 Git 설치와 Repository 생성할 수 있는 절차는 이미 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그 이후부터 작성하겠습니다. 만약 설치 전이라면 다음 링크로 이동하여 먼저 설치하고 진행 해야합니다.
- 등록된 사용자 정보 확인
git config --global --list
이전에 등록한 user.name과 user.email 정보가 없다면, 다음 명령어로 설정해 줍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example.com"
user.name ---> Github 생성할 때 등록한 이름
user.email ---> Github 생성할 때 등록한 이메일
로컬 React 프로젝트 이름과 원결 Github Repository 이름을 임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하겠습니다. 설명을 위해 React 프로젝트 이름과 Github Repository 이름을 다음과 같이 임의로 작성하겠습니다.
- GitHub Repository 이름 : My-App2
- React 프로젝트 이름 : My-App2
2️⃣ Visual Studio Code에서 GitHub 연결하는 방법
VSCode에서는 GUI를 활용해서 더 간편하게 GitHub과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실습을 위해 미리 React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폴더 이동을 합니다.
C:\.....작업폴더\>npx create-react-app my-app2
Need to install the following packages:
create-react-app@5.1.0
Ok to proceed? (y) y
...
C:\.....작업폴더\>cd my-app2
1. VSCode에서 Git 활성화
- VSCode에서 My-App2 프로젝트 열기
C:\.....작업폴더\my-app2>code .
- 왼쪽 사이드바 → Source Control (소스 제어) 아이콘 클릭하여 git init을 실행합니다.
- 소스 제어을 클릭 한 후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본다면 정상적으로 로컬 git이 현재 프로젝트에서 초기화 되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git bash shell 명령어의 git init와 같은 역할입니다.
git init 상태가 아니라면 다음 더보기를 참고하세요.
<참고>
git init 된 상태라면 본 참고 사항은 지나가도 됩니다.
- 만약 git init을 되지 않는 상태라면 "소스 제어"를 클릭했을 때 화면에서는 "리포지토리 초기화"와 "Github에 게시" 버튼이 보이게 됩니다. 해당 버튼을 순서대로 클릭하여 현재 폴더에 Git Repository를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 메시지 입력, commit 진행하여 로컬 Git 초기화 합니다.(git init)

- 게시 Branch 선택하여 원격 Repository 생성하고 동기화 합니다.

- 원격 Repository 이름은 반드시 로컬 프로젝트 이름과 같지 않아도 되므로 원하는 이름 입력 가능합니다. 본 절차까지 진행한 후 Github에서 생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로컬 Git에 첫 번째 commit을 진행합니다. 메시지 창에 "React Project Init"이라고 작성하고 게시 Branch를 클릭하면 commit과 동시에 원격 Github에 my-app2 Repository가 생성됩니다.
- Github에서 열기: my-app2 Repository가 성공적으로 생성되고 로컬 프로젝트 내용이 push가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로컬 코드 수정 후 GitHub에 코드 업로드
- VS Code에서 수정이 필요한 파일을 먼저 변경합니다. 또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도 가능합니다.
- 내용을 수정하면 왼쪽 "소스 제어" 아이콘에 변화한 파일의 개수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화면과 같이 "변경 내용 스테이징"이 보이게 되며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변경 사항이 여러개 이며 그 중 일부 파일만 commit하고 싶다면 해당 파일만 +버튼을 클릭할 수 있습니다.
- 변경 내용 스테이징(+)를 클릭하면 다음 그림처럼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 부분에 등록되며 "변경 사항"에는 개수가 줄어 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 commit(커밋)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후 나타나는 "변경 내용 동기화" 버튼을 클리하면 commit/push 확인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로컬의 변경 내용이 원격 Github에 적용됩니다.
- 모든 과정이 끝나면 동시에 등록했던 commit 메시지가 등록되며, 더 이상 commit(커밋)할 내용이 없는 화면으로 변합니다.
- Github에서 기존 내용이 Update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프로그래밍언어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문법2]React 컴포넌트의 이해 (1) | 2025.03.20 |
---|---|
[React문법1]React 프로젝트 구조 이해하자! (1) | 2025.03.16 |
[React 개발환경3]GitBash 이용! VSCode+Git+Github연동 (0) | 2025.02.19 |
[React 개발환경2]VSCode for React! (0) | 2025.02.17 |
[React 개발환경1]먼저 Node.js를 설치해볼까! (1) | 2025.02.16 |